카테고리 없음

휴대폰으로 집 밖에서 집 데스크탑 켜기! - WOL 편 (LGU+net, 외부 IP 이용)

머리큰개발자 2021. 12. 20. 02:04

오늘은 맥북 에어를 산 기념으로 맥북에 윈도우 세팅을 하려고 했다.
근데 부트캠프를 깔자니 번거롭게 왔다갔다 하기 귀찮고,
패러럴즈를 깔자니 깡통 맥북이라 ( 8GB 램 + 256GB SSD ) 리소스가 너무 아깝다.
게다가 굳이 맥북에서 윈도우 돌려서 성능에 손해를 보는 것보다는
집에 데스크탑 자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이롭지 않을까?

그래도 라이젠 3700x 에 1660 super 니 맥북 에어보다는 잘 돌아가지 않을까해서
그 첫 단계로 집 컴퓨터 외부에서 키기! 를 준비했다.

아주아주 쉬우니 금방 끝낼 수 있다.

준비물은 윈도우 데스크탑과 핸드폰이다.

총 3가지 구성이 있다.
1. 메인보드 설정
2. 이더넷 설정
3. 공유기 설정

1. 메인보드 설정

가장 먼저, 메인보드가 신호를 받았을 때 작동할 수 있도록 bios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나는 ASROCK이었던 것 같은데, 옛날에 쓸 때 이미 해놔서 설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필수이니 반드시 해야함
이 분이 정말 잘 정리해두셨다. 다음에 혹시 포멧이라도 해서 또 해야할 시에 참고해야겠다.
https://202psj.tistory.com/1241

2. 이더넷 설정

* 오랜만에 다시 해보려니 윈도우가 업데이트 되어서 많이 바꼈다. (수정 2023.11.09)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어댑터 옵션 변경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 기타 네트워크 어댑터 옵

네트워크 목록 중 PCIe 가 들어간 애가 하나 있을 것이다.
더블 클릭 후 속성 or 고급에 들어가서 "웨이크온" 혹은 wake on 이라고 되어 있는 애들 모두(3가지) 활성화를 시켜준다.

더블 클릭 후 속성에 들어간다.

연결에 사용할 장치: ~~ PCIe ~~ 바로 밑에 구성 버튼을 클릭한다. (변경사항 어쩌구가 뜨면 무시하고 확인)

고급 탭에 들어간다.

속성 값중 

  1) Wake on Magic Packet

  2) Wake on pattern match

  3) Shutdown Wake-On-Lan 

의 값을 Enabled 로 바꿔준다.

(WOL & Shutdown Link Speed 는 10메가 우선으로 되어 있는데 차이를 느끼기 힘들었음. 이게 뭔지 추후 봐야겠다)

 

그러면 끝.


공유기 설정만 따로 보면 끝이다.

3. 공유기 설정

1. 먼저, window + r 을 눌러 실행창을 킨 후 cmd 를 입력하여 커맨드 창을 킨다.
ipconfig /all 을 입력하여 ip 정보를 불러온다.
대부분 IPV4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IPV4 번호를 기억한다. 192.xxx.xxx.x 형태일 것이다.


맥북 팔려고 내놓고 나서 다시 보니까 안 잘 안된다.
ipconfig 에서 이더넷에서 DHCP 서버에 해당하는 값을 주소표시줄에 치니까 된다.

참고로 DHCP서버는 랜선을 꽂을 때 무작위로 배정받는 IP주소다.
그렇기 때문에 IP 주소가 바뀔 수 있고,
주소가 바뀔 경우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어지므로
고정IP를 사용해서 IP 번호가 바뀌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고정 IP 쓰는 방법은 인터넷에서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추후에 포스팅 할 경우 링크를 걸 생각이다.

생각해보니까 굳이 싶어서 그냥 할까 싶다.



2. Internet explorer 혹은 chrome 혹은 edge 등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방금 본 번호를 그대로 친다.
그럼 아래의 화면이 뜰 것이다. (제 공유기 모델이 GAPD-7500이에용 ㅎㅎ)


3. 위에 외부정보와 아래에 내부정보가 뜬다. 아래 공유기 그림을 누르면 로그인 할 수 있다.
* 비밀번호는 최신에 나온 것들은 모두 공유기 하단에 admin 비밀번호라고 적혀있으니 반드시 그것을 적을 것. mac+#+ 뭐시기 이걸로 안된다.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고, 네트워크 설정 -> 세부 설정으로 들어간다.



4. Wake On LAN(WOL)에 들어가서

현재 접속된 PC의 MAC 주소로 설정을 누르면 자동으로 MAC주소가 등록된다.
만약 없을 경우, 아까 cmd 창에서 ipconfig /all 을 쳤을 때 나오는 MAC 번호가 해당 기기의 MAC 주소이니, 그냥 쳐서 넣으면 된다.

공유기 설정은 모두 종료다.
이제 외부에서 공유기에 신호를 주면 공유기가 MAC주소로 신호packet 을 보낼 것이고, 그 신호를 받으면 우리가 미리 설정해놓았기 때문에 컴퓨터 전원을 켜줄 것이다.

그렇다면 공유기에 외부에서 어떻게 접근하는가?

가장 처음에 봤던 화면 (IPV4 주소로 접근한 곳)의 외부 IP 정보가 바로 그 key다.

외부망 (핸드폰 LTE 등) 에서 접근할 때는 외부 IP 를 이용해서 각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다.
단, 보안 때문에 단순히 입력하는 것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다.
고로 접근할 수 있는 항구를 하나 내어주자.

아까 그 wake on LAN 설정한 곳(세부설정)에서 원격제어로 들어간다.
원격제어 설정을 사용함으로 바꿔주고 내가 마음에 드는 포트 번호를 설정한다.
웬만하면 다른 것과 겹치지 않기 위해 큰 숫자를 사용하라고 했던 것 같다.
(아마 65536 미만 이어야 했던 것 같다.)

예를 들어서 1111로 설정했다고 하자.
그럼 외부망에서 접근할 때, 웹 브라우저(크롬 등) 주소창에 외부IP 를 치고, 뒤에 포트 번호를 붙여서 접근한다.
ex ) 182.123.23.4:1111

그러면 외부망에서도 내가 아까 IPv4 로 접속했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를 볼 수 있다.
똑같이 로그인하면 되는데, 아무래도 공유기 하단에 있는 번호를 외워서 쓰긴 힘드니,
공유기 설정 -> 비밀번호 변경 옵션을 이용해 내가 외우기 쉬운 비밀번호로 변경해주도록 하자.

로그인하면 화면 중에 다음 메뉴가 있을 것이다.

해당 mac 주소가 내 컴퓨터께 맞다면 "켜기" 를 눌렀을 때 데스크탑이 부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WOL 설정 끝



나는 window 10 pro를 쓰기 때문에 RDP(원격제어) 가 지원되어서,
맥북으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이용해 원격접속을 하려 했다.
근데 내부망에선 되는데 외부망에선 요리조리해도 잘 모르겠어서, 그냥 Chrome Remote Desktop 앱을 쓰기로 했다.

이게 웬걸, 크롬에서 확장 프로그램 다운하고 컴퓨터를 등록하기만 하면, 등록한 기기끼리 다 원격 접속이 가능했다.
다운만 받으면 바로 쓸 수 있다니..
WOL로 전원만 켜면 chrome 으로 이용가능한 것을 확인했으니 다음부터는 밖에서도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빨리 맥북에 적응해서 개발 좀 해봐야지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