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2

리눅스 네트워크, 소켓

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기기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사용되는 모든 전기 통신 기기와 전송로의 결합을 의미한다. 현재는 대부분 컴퓨터의 통신망에 관련하여 사용되고, 규모에 따라 LAN, MAN, WAN 등으로 분류된다. (좀 애매해지긴 했음) 통신은 크게 5단계를 거친다. 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바꾼다. 2. 정보를 보낸다. 3.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4. 네트워크로 부터 정보를 받는다. 5. 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바꾼다. 이 5단계를 조금 더 세분화하여 구분한 뒤에 모듈화한다. 모듈화란 역할을 나누어 자신의 역할만 수행하고 결과물을 넘기는 유형을 말하며 우리말로 분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통신을 할 때는 송수신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어야한다.가장 기본적..

카테고리 없음 2021.05.02

리눅스 프로그래밍 자주 쓰던 명령어 기록용

1991년 첫 버전이 '대학원생'에 의해 개발되어 공개되었다. 역시 대학원생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전세계 컴퓨팅 기기의 과반수가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리눅스는 완전히 공개된 운영체제로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닉스와 호환이 완벽하며 네트워크와 임베디드에서 강한 모습을 보인다. 많이 사용되는만큼 빠르게 진화하고 변화하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인 쉘을 사용하여 CLI로 대화한다. 쉘 프로그래밍에서의 유용했던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1. man, 명령어 --help 매뉴얼이나 도움말을 호출해준다.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안뜨지 2. 파일+디렉터리 2-1. ls -옵션 -전달인자 -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 출력 2-2. cd - 후술된 디렉토리로 이동 ..

카테고리 없음 2021.05.02